파이썬의 자료구조는 단순하지만 강력하다. 자료구조의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이 파이썬의 고수가 되는 지름길이다.

 

오늘은 자료구조 중 튜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. 튜플을 간단히 설명하자면, 고정된 크기를 가지는 변경 불가능한 순차 자료형이다.

 

그럼 튜플에 성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.

 

1. 튜플 생성방법

1-1 쉼표로 구분된 갑을 대입

 

1-2 괄호를 사용해서 값을 묶어줌

 

1-3 모든 순차 자료형이나 이터레이터는 tuple 메서드를 호출해 튜플로 변환 가능(대괄호'[]'를 이용해 특정 자료에 접근 가능)

 

1-4 튜플은 한번 생성된 경우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다. (True -> False로 변경하려 했지만 오류가 난다)

 

1-5 튜플 내 리스트가 있는 경우 리스트 내 요소 추가는 가능

 

1-6 연산자를 이용하여 이어붙이기 가능

 

1-7 튜플에 정수를 곱하면, 튜플이 곱한값만큼 반복

2. 튜플에서 값 분리하기

2-1 만일 튜플과 같은 표현의 변수에 튜플을 대입하면 파이썬은 등호(=)는 오른쪽에 있는 변수에서 값을 분리

(print(a, b, c)에서 a, b, c는 서로 분리된 값이다, print(a)를 하면 4만 출력이 될 것이다.)

 

2-2 중첩된 튜플을 포함하는 순차 자료형에서도 값을 분리 가능

 

2-3 파이썬에서 변수를 바꾸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방법도 가능

 

2-3 for문을 사용하여 튜플 순회도 가능

 

2-4 만약 튜플 내 처음 몇몇 값만 사용할 경우

(*rest대신 *_가 쓰이는 경우가 있고 이는 불필요한 변수를 의미한다)

'Data organization >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omprehension(리스트, 딕셔너리)  (0) 2021.02.12
파이썬 연산(집합)  (0) 2021.02.03
딕셔너리(Dictionary)  (0) 2021.02.03
자료형 함수  (0) 2021.01.28
리스트 활용 방법  (0) 2021.01.27

+ Recent posts